6. 종교문화경영의 6단계 – 문화지연(文化遲延, culture lag)
문화지연(文化遲延)이라는 것은 다음 문화순응의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여건이 준비되지 않았거나 또는 준비되었을지라도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늦어지는 상황에 처해진 것을 의미한다.
1) 다이어그램(diagram) 10 - 문화지연(文化遲延)
새로운 문화에 대한 사회적 반응과 호응이 긍정적 이라고 할지라도 문화지연의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비록 다음의 문화단계로 갈 수 있는 제반사항이 준비되었을지라도 지역적 한계에 머물러 있거나 보다 넓게 외연을 확장하지 못한 상태에서 정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원인의 핵심은 정치적 차원과 무관하지 않다. 예컨대 서구의 나라는 타국에서 전파된 새로운 신앙단체의 독특한 사상과 사회적 행위 등을 여러 분야에서 검토하고 법적으로 자국의 사상과 공익사회에 저촉되면, 국가적 관리 대상으로 분류한다.
다만 정부와 사회단체는 그러한 형태로 분류된 신앙단체의 자국인 또는 타국인들의 신앙행위를 금지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최고 (정신적) 지도자 등은 자국으로의 입국이 불허(不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신앙단체의 국가적 검증시스템은 특히 독일과 유럽에서 철저하게 작동되고 있다.
'제 8장 종교문화경영학-단계와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종교문화경영의 7단계 – 문화소외(文化疎外, culturae isolate, culture isolation) (0) | 2019.08.04 |
---|---|
6. 종교문화경영의 6단계 – 문화지연(文化遲延, culture lag)- 1) 다이어그램(diagram) 10 - 문화지연의 원인 (0) | 2019.08.04 |
5. 종교문화경영의 5단계 –2) 다이어그램(diagram) 9 - ~문화의 사회학습화과정 ③ ~⑤ (0) | 2019.08.03 |
5. 종교문화경영의 5단계 –2) 다이어그램(diagram) 9 - ~문화의 사회학습화과정 ② (0) | 2019.08.03 |
5. 종교문화경영의 5단계 –2) 다이어그램(diagram) 9 - ~문화의 사회학습화과정 ① (0) | 201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