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문화 5

10. 종교문화경영의 10단계 ㈐ 잘못된 그리스도교의 문화융화모델

㈐ 잘못된 그리스도교의 문화융화모델 그리스도교 사상과 문화는 그리스-로마문화와의 융화를 말하지 않고는 설명하기가 어려울 정도다. 그리스도제국의 유일신 문화가 로마 황제문화와 교황문화에 융화되어 조직의 제도화가 구체적으로 정립되었다. 교황청과 교황의 권위는 절대적이..

10. 종교문화경영의 10단계 ㈏ 그리스도교 – 문화동화(文化同化)에서 문화융화(文化融和)로 ① ~③

㈏ 그리스도교 – 문화동화(文化同化)에서 문화융화(文化融和)로 로마대제국의 황제는 신적 존재였다. 그의 권좌와 언행은 천상의 명령과 다를 바 없었다. 그 제국의 황제문화와 정치적 위상은 차후 그리스도교대제국의 통치이념이 되었고 황제문화는 교황문화로 승계되었다. 그리스도..

Ⅰ. 종교문화(宗敎文化)의 본질(本質) ①~②

Ⅰ. 종교문화(宗敎文化)의 본질(本質) 종교문화의 본질은 지역적 풍토와 특색에 따라 다양하며 나름대로의 전통적 가치와 역사적 의의를 추구한다. 하지만 그 문화는 시대적 상황과 패러다임에 의해 복합적인 영향을 받았고 성장과 발전의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생활문화와 연계되어 있어 문화의 습합(習合)사상을 이루고 있다. ① 한국 그리스도교 신앙인의 일부가 습합사상을 혼합(混合)주의라고 생각하고 그것을 저속한 문화행태라고 비하(卑下)하면서 선진국의 문화가 어떠하다고 스스럼없이 설명한다. 한국문화가 역사성과 유구성이 없는 후진문화라고 여기는 것은 자국의 역사인식보다 서구의 그리스도교회사와 교리에 의거한 신앙고백에 충실한 결과다. 역설적으로 한국그리스도교 신앙인이 한국의 저속하고 후진문화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 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