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종교(宗敎)와 Religion 21

Ⅳ. 특수 개념으로서의 Religion -그리스도교의 역사적 사례와 시사점

Ⅳ. 특수 개념으로서 그리스도교의 Religion 역사적 사례와 시사점 서구 그리스도교는 신앙문화와 사회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어 공동체사회문화를 일구어내는데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다. 그리스도교의 religion교리와 신조는 절대적 신념가치로서 정치ㆍ종교문화경영과 신앙교육의 핵심이자 삶의 이정표가 되었다. 많은 학자들이 중세유럽시대는 암흑시대였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세유럽시대는 서로마 가톨릭 교황청을 중심으로 한 그리스도교대제국의 공동체사회문화를 이루었고 교황은 신성화(神聖化)되었다. 그 당시 그리스도교의 제도화된 절대적 권위와 교권은 하늘같이 높은 권능(權能)이 되어 그리스도교대제국의 신앙인들을 통치ㆍ통제했다. religion교리와 신조에 어긋난 언행을 했거나 그와 같은 혐의가 있다는 제보가 들..

Ⅲ. 종ㆍ교(宗ㆍ敎)자의 분석-5. 불가(佛家)에서 종(宗)ㆍ교(敎)와 그 의의

5. 불가(佛家)에서 종(宗)ㆍ교(敎)와 그 의의 불가(佛家)에서 종(宗)자와 교(敎)자(字)의 개념은 그 ‘어떤 궁극적(宗)인 가르침(敎)’임을 설명한 것이며, 불교문화지역에서의 학파(學派)들을 분류하는데 사용되었다. ‘종(宗)’자(字)의 개념은 불교의 교의학을 연구하는데 활용되었다. 그의 개념은 중국의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221~589) 말기부터 사용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수(隋)ㆍ당(唐)시대에 불가(佛家)교리의 요지(要旨)를 함축(含蓄)적이고 함의(含意)적인 용어로 종(宗)자(字)를 썼다. 종(宗)자의 의미 대신 교(敎)로 표현한 것도 있으나 아주 한정적이었다. ㈎ 인도불가(佛家)경전 중에 ‘랑카바타라 수트라(Lankavatara–Sutra)’가 있다. 랑카바타라는 석가(釋迦)의 가르침이라는..

Ⅲ. 종ㆍ교(宗ㆍ敎)자의 분석-4. 유가에서 종ㆍ교(宗ㆍ敎)의 의의

4. 유가에서 종ㆍ교(宗ㆍ敎)의 의의 한옥 집에 대청마루가 있다. 일반적으로 마당에서 두 세 개의 섬돌계단을 올라가면 봉당이 있고, 봉당에서 방으로 들어가기 전에 나무로 만든 평상(平床)같은 대청마루가 있다. 그것은 방안으로 들어오는 겨울의 찬바람과 땅의 습기를 최대한 줄여주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선현(先賢)들이 여러 질병의 원인들 중에 무엇보다도 왜 풍한(風寒)서습(暑濕)을 손꼽았는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대청마루에도 위와 아래가 있다. ‘마루 밑’이라는 말은 마루 종(宗)자의 반대 개념이 된다. 유가(儒家)에서 종(宗)자는 만사(萬事)의 근원이 되며 생활 중에 가장 으뜸이 되고 또한 최고의 정점이 되는 것으로 이해ㆍ인식되고 있어 그러한 의미가 담겨있으면 조종(祖宗)이라고 표현됐다. 선인(先人)..

Ⅲ. 종ㆍ교(宗ㆍ敎)자의 분석-3. 중용 제 1장과 대학 1장 - 그 사상적 배경과 의의

3. 중용 제 1장과 대학 1장 - 그 사상적 배경과 의의 맹자(孟子)는 공자(孔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문하에서 수학(修學)했다고 알려져 있다. 맹자가 대학(大學)편 대학 1장 대학지도(大學之道)의 뜻을 이해하고 그 내용의 본질을 분석하여 숙고한 다음에 부연설명으로 제기된 것이 바로 중용 1장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학지도란 무엇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 위에서 제시한 압축된 주제어로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맹자는 함축적으로 표현된 대학지도의 의의를 천지인(天地人)의 합일(合一)사상과 연계시켜 풀어 나아가고자 중용 1장을 제시한 것으로 유추된다. 이에 대해 필자는 중용 1장과 대학 1장을 비교해서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분석해 보자고자 한다. 1) 중용(中庸) 1장 해석 천명지위성(天命之..

Ⅲ. 종ㆍ교(宗ㆍ敎)자의 분석 2. 유가에서 종(宗)과 교(敎)자(字)

2. 유가에서 종(宗)과 교(敎)자(字) 유가(儒家)에서 자아성찰을 중요시 하듯이 고대 서구의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가 ‘나는 나 자신을 탐구했다’고 했던 말을 사유(思惟)해 보자. 자기 자신의 탐구는 성찰과 반성에서 비롯된다. 성찰과 반성의 근거가 자기성립의 근간이 되었고 그 근거로 인해 세계근원에 대한 반성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와 같은 맥락에서 종ㆍ교(宗ㆍ敎)의 개념분석은 여러 분야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종(宗)자(字)와 교(敎)자의 본래 의미와 사상을 발견하기 위해 동양고전의 선택은 불가피했다. 종(宗)자의 어원적 글자 풀이, 의미와 용처(用處) 등은 이미 위에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유가의 경전 중에 교(敎)자가 사용된 부분이 어디에 있는가를 찾아보고 종ㆍ교의 개념이..

Ⅲ. 종ㆍ교(宗ㆍ敎)자의 분석 -1. 종ㆍ교(宗ㆍ敎)의 개념

1. 종ㆍ교(宗ㆍ敎)의 개념 - 수행과 학습을 병진시키는 교육방법으로 필자는 종ㆍ교(宗ㆍ敎)에 관한 어원적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여러 참고문헌을 살펴본 후 아래와 같이 큰 틀에서 정리하고자 한다. 먼저 마루 종(宗)자는 으뜸이 되는 궁극적인 진리(siddhanta)를 뜻하기 때문에 종교(宗敎)의 개념은 원론적으로 ‘궁극적인 진리에 대한 가르침’이다. 우리의 선조(先祖)님들은 종ㆍ교(宗ㆍ敎)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이전에 성현(聖賢)들의 가르침을 배우며 때때로 익히고(學習) 존중하면서 따르는 사람을 학인(學人)이라고 했다. 학인은 통상적으로 그들을 신앙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깨우침을 주신 스승 또는 위인(偉人)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학인의 계보(系譜)가 혈통(血統)이나 신앙단체소속의..

Ⅲ. 종ㆍ교(宗ㆍ敎)자의 분석

Ⅲ. 종ㆍ교(宗ㆍ敎)자의 분석 언어와 문자에 민족의 혼과 문화의 뿌리가 깃들여 있듯이 ‘종(宗)’과 ‘교(敎)’자(字)의 개념은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가? 종ㆍ교(宗ㆍ敎)의 개념을 분석하는 것은 종교, 종교문화 그리고 종교문화경영의 본질과 목적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종교의 의의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마루 종(宗)자는 산으로 비유하면 산의 최정상 봉우리이며 가장 으뜸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으뜸이 되는(宗) 최고의 가르침(敎)이 원론적으로 종ㆍ교(宗ㆍ敎)다. 종(宗)’과 ‘교(敎)’자(字)의 개념은 본래 선현들의 가르침을 체계적으로 학습(學習)하고 깨우치기 위해 사용된 교육방법론의 핵심 주제어다. 그들의 가르침을 존중하면서 따..

4. 교(敎)자와 정신문화사상

4. 교(敎)자와 정신문화사상 서력기원 약 2500여 년 전에 출생한 공자, 노자, 석가는 그들이 스스로 깨달은 사상을 설파(說破)하였고 많은 사람으로부터 존경의 대상이 되었다. 그들의 가르침(敎)은 수행과 학문의 세계를 이어가는 학인(學人)의 사상적, 정신적 계보(系譜)와 계통(系統)을 형성했다. 생물학적 혈연계보를 이어가는 계통이 가통(家統) 또는 가계(家系)라고 표현하듯이 정신사상을 이어가는 계보를 어떠어떠한 사상가(思想家)라고 한다. 사상가의 계통(系統)이 선가(仙家), 유가(儒家), 불가(佛家), 도가(道家) 등으로 그의 계파가 분류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유가, 불가, 도가 이전에 이미 존재했던 정신적 계파(系派)가 선가(仙家)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선가는 특히 사람이 산(山)에서 수행을..

3. 종(宗)자를 주축(主軸)으로 파생된 용어

3. 종(宗)자를 주축(主軸)으로 파생된 용어1) 종(宗)자를 중심으로 파생된 용어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종가(宗家): 만파(萬派)의 집안. 큰집. 종국(宗國): 종주국(宗主國) 종규(宗規): 종법(宗法) 종기(宗器): ①종묘(宗廟)에서 사용하는 예악(禮樂)의 기구(器具). ②제기(祭器) 종녀(宗女): 황실(皇室)의 딸 종답(宗畓): 『한(韓)』 종중(宗中) 소유(所有)의 논 종도(宗徒): 종교ㆍ종파(宗派)의 신앙자. 신도(信徒) 종로(宗老): 문중(門中)의 존장자(尊長者) 종론(宗論): 각기 다른 종파(宗派)가 서로 그 우열(優劣)ㆍ진위(眞僞)를 논하는 언론(言論). 종맹(宗盟): 종묘(宗廟) 앞에서 맺는 맹서(盟誓) 종묘(宗廟): ①역대(歷代)의 신주(神主)를 모신 제왕가(帝王家)의 사당(祠堂). ..

Ⅱ. 종교(宗敎)의 개념과 의의

Ⅱ. 종교(宗敎)의 개념과 의의 종교(宗敎)의 개념은 삶의 현실과 목적에 궁극적으로 깨우침을 주는 성현들의 사상적 가르침을 뜻하며 그들의 뜻을 이어가는 후학(後學)들의 단체가 사상단체다. 사상단체에는 신앙대상이 없으나 그들의 학문적이고 정신적 계보(系譜) 즉 가통(家統)을 이루고 있고 있어 선(仙)ㆍ유(儒)ㆍ불(佛)ㆍ도(道)가(家) 및 학(學)이라고 하였다. 종교의 의의는 동양사상에서 삶의 본질과 천(天)ㆍ지(地)ㆍ인(人)의 길이 하나의 조화된 길임을 스스로 깨우치는 데 있다. 1. 종교(宗敎) - 삶의 으뜸이 되는 보편적 가르침 예로부터 자연은 대우주, 인간은 소우주이며, 천지인(天地人)합일사상은 종교(宗敎)사상의 본원(本原)으로 설명되었다. 천지자연의 이치가 인간과 함께 공존하고 있다는 동양의 자연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