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상황화 8

종교문화경영의 11단계 – 문화상황화 3) 다이어그램(diagram) 16 -㈓ 시대상황과 시대정신을 돌아보며

㈓ 시대상황과 시대정신을 돌아보며 한국의 근대화시기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시대상황의 사회적 얼굴이자 시대정신을 이끌어 낸 단체 가운데 하나가 서구사상을 대변한 그리스도교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스도교는 한국 전통문화의 사상과 정서를 잘 융화시켜 성장되었고 가장 ..

종교문화경영의 11단계 – 문화상황화 3) 다이어그램(diagram) 16 -㈐ 문화상황화에 대한 한국 서로마 가톨릭의 새로운 문화경영

㈐ 문화상황화에 대한 한국 서로마 가톨릭의 새로운 문화경영 한국 서로마가톨릭은 한국 토착문화와의 관계회복을 위해 종교문화경영의 차원에서 전략과 혁신경영 등을 필요로 했다. 1963년 12월 11일 서로마 교황청은 대한민국과의 수교를 공식적으로 체결했다. 그 후 한국 가톨릭은 새..

11. 종교문화경영의 11단계 – 문화상황화 ㈎ 실존철학(實存哲學)과 실존문화철학(文化哲學)의 관점

1) 문화상황화(文化狀況化 culture contextualization) 독일의 실존주의 철학자 K. 야스퍼스(Karl Jaspers, 1883~1969)가 ‘한계상황’(Grenzsitu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인간이 한계상황에 도달하면 그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또는 대처하고자 하는 반응 속에 새로운 생생(生生)의 변화(變化)가 일어나..

6. 서교(西敎; 그리스도교)적이다 1) 한국의 역사적 사건과 연관된 그리스도교회사 ⑪ ~⑫

⑪ 역사와 교회사의 관계 대한민국은 1960년 4월 19일 학생혁명, 1980년 5월 18일 광주민주화운동 그리고 1987년 6월 항쟁(六月抗爭)을 통해 자유민주주의 국가로 한 걸음 더 성장되었다. 한국의 그리스도교인도 광주시민과 함께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다. 1984년 5월 한국가톨릭교회가 선교 200주..

6. 서교(西敎; 그리스도교)적이다 1) 한국의 역사적 사건과 연관된 그리스도교회사 ⑨ ~⑩

⑨ 산업화와 그리스도교화 1960년 4월 19일 학생혁명은 결과적으로 이승만 정권을 타도시켰고 제 2공화국인 장면(張勉)의 내각제가 수립되었다. 하지만 1961년 5월 16일 새벽 3시 박정희 소장에 의해 군사 쿠데타(coup d'Etat)가 일어났고 군사혁명위원회'(軍事革命委員會)가 조직되었다. 그 조직..

민족의 역사와 주체, 그들은 누구였고 오늘의 국민들은 누구인가?

민족의 역사와 주체, 그들은 과연 누구인가? 서구문화와의 역사적 문화의 충돌로 시작된 근대화시기. 대한제국의 심장은 일제의 물리적 압력에 의해 강제로 빼앗겼다. 여순 감옥(監獄)에서 비참하게 생을 마감한 독립운동가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0~1936)선생, 그는 한국인이지만 지금까지 국적이 없다. 누가 그의 국적과 호적까지 멸실시켰는가? 누가 단재의 국적을 회복시켜줄 수 있을까? 요즈음 그의 역사ㆍ민족관이 왜 다시 주목받고 있는가? 동학혁명, 청일, 노일전쟁, 경술국치 등의 결과는 어떠했는가? 수많은 독립운동가들 중에 이미 알려진 유명인들은 물론 여러분의 가족이나 지인 또는 이웃의 의인들, 아직 밝혀지지 않은 무명인들도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왜 그분들은 항일 운동.광복운동, 독립운동을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