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종교와문화의 습합(習合)사상 15

3. 동학(東學)운동의 영향과 신종교문화의 태동(胎動) ⑧ ~⑨

⑧ 일제강점기 이후 선가, 유가, 불가, 도가, 개신교의 사상과 교리 및 이념을 적절히 수용하여 형성된 새로운 신앙단체들이 우후죽순처럼 발생했다. 그들은 한국 전통문화와 풍습 및 제도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그들의 교리서와 신앙문화를 만들었고 그러한 문화적 요소들을 일상생활에 ..

3. 동학(東學)운동의 영향과 신종교문화의 태동(胎動) ⑤ ~⑦

⑤ 서구세력의 조선침략과 최제우의 동학사상 및 시대적 개화사상의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다방면의 분석은 먼저 역사적 시대상황에 초점을 두고 조명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 단락에서는 동학을 다루는 것이 주목적이 아니고 동학이 역사적 안목에서 사회적으로 새로운 사상단체와 ..

3. 동학(東學)운동의 영향과 신종교문화의 태동(胎動) ③~④

③ 1871년 5월 미국 극동함대 사령관 소장 로저스(John Rodgers)제독은 기함 콜로라도호(Colorado號)을 포함하여 총 군함 5척2)과 수해병 1,230명, 함재대포 85문을 적재하고 일본 나가사키(長崎)를 경유하여 6월 1일 조선원정을 강행했다. 로저스는 사전 통보나 양해 없이 조선의 강화해협(江華海峽)..

3. 동학(東學)운동의 영향과 신종교문화의 태동(胎動) ① ~②

3. 동학(東學)운동의 영향과 신종교문화의 태동(胎動) 한국문화토양에서 자생(自生)한 새로운 사상단체와 신종교문화는 동서(東西)문화의 교류를 통해, 때로는 민족사상고취와 함양을 위해 태동되었다. ① 서세동점(西勢東漸)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부터 생애를 마감할 때까지 동학사상..

Ⅱ. 종교문화의 습합(習合)사상 2. 한국 서로마 가톨릭 ⑨~⑩

⑨ 2차 세계대전 이후 서로마 교황청도 예외 없이 격변(激變)의 시대를 맞이하여 변화하기 시작했다. 타국문화에 대한 배려와 습합문화의 일정부분을 인정하는 교황청의 의결이 있었다. 그에 관한 교황청의 문건이 1963년 한국가톨릭에 전달됐다. 그 이후 여러 과제와 토의 그리고 연구과정을 거쳐 오늘날 한국 가톨릭은 자국의 풍토와 국민들과 함께 그리고 전통문화와 더불어 협력하고 조력(助力)하고자는 차원에서 소통의 폭을 넓혀가며 노력하고 있다. 과거 획일적인 가톨릭문화경영에 소통과 배려문화가 반영되어 긍정적인 사회적 분위기와 가치 환원에 참여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 서로마 가톨릭에 불어온 성령운동과 신비주의적인 마리아 숭배사상이 있었다. 하지만 1980년도 서로마 한국가톨릭의 전형적인 질서체제가 재정비되었고 제도..

Ⅱ. 종교문화의 습합(習合)사상 2. 한국 서로마 가톨릭 ⑥~⑧

⑥ 2004년 3월 일제강점시기에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법률 제07203호)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었고 2004년 12월 29일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법률 제07361호)으로 전면 개정되었다.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노기남, 장면, 김성수의 친일의혹을 ..

Ⅱ. 종교문화의 습합(習合)사상 2. 한국 서로마 가톨릭 ③~⑤

③ 대한민국의 역사는 국가와 국민의 국사(國史)로서 그 연원과 정통성이 누천년 동안 지속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국의 그리스도교회사는 신앙차원에서의 교회사(敎會史)일뿐 한국의 역사와 국민 등을 대신하거나 대표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한국사에 조선 가톨릭 교인들의 사..

Ⅱ. 종교문화의 습합(習合)사상 2. 한국 서로마 가톨릭 ①~②

2. 한국 서로마 가톨릭 조선(朝鮮)시대의 한국 서로마 가톨릭은 유일신사상과 절대적 신념체계의 도그마와 신조를 고수(固守)했다. 조선의 가톨릭신앙인은 천주(天主)님의 이름으로 죽음도 불사하며 자국의 고유문화인 제례와 국가ㆍ사회체제의 역할과 기능을 거부했다. 가톨릭 신앙을 ..

Ⅱ. 종교문화의 습합(習合)사상 1. 한국 개신교 ③ ~ ④

③ 바이블에 소개된 예수의 삶은 청빈(淸貧)한 생활이었다. 후대 수도사들이 예수의 청빈사상을 진솔하게 재현시킨 것이 수도원이다. 그 중에 베네딕트 수도원과 프란체스카 수도원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세계 그리스도교가 한국 그리스도교의 성장과 추세를 주목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한국교회와 수도원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이 베네딕트와 프란체스카 수도원과 비교할 수 없는 것은 유념해야 한다. 그렇지만 세월의 부침(浮沈)속에 예수가 외친 ‘빛과 소금의 역할’과 ‘만민이 기도하는 하나님의 성회(막 11:7)’로써의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는지 되짚어 보아야 할 것이다. 그 안에 한국 개신교회도 포함되어 있어 깨어 있는 목회자들의 개혁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감사헌금의 유형은 무지개의 빛 보다 더 다양하고 화려하며 또한 ..

Ⅱ. 종교문화의 습합(習合)사상 1. 한국 개신교① ~ ②

Ⅱ. 종교문화의 습합(習合)사상 종교문화의 속성이자 특색은 지역적 고유 풍토와 관례 등을 자양분으로 삼아 성장하고 주변의 문화와 교류하며 학습과 습합과정을 거치면서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문화의 습합사상이 형성되어 발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종교문화의 본질이자 보편성이다. 종교문화의 습합사상이 한국 그리스도교의 신앙단체와 한국토양에서 자생(自生)한 새로운 신앙단체에게도 영향을 주어 발전되었다는 것을 다루고자 한다. 그와 함께 이미 위에서 설명된 Ⅱ. 한국인의 종교(심)성의 단락에서 다소 미진했던 부분은 이 단락에서 보완하고자 한다. 1. 한국 개신교 개신교에서 행하고 있는 새벽기도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보통 새벽 4시경 교회의 새벽제단에 신자들이 모여 각자 나름대로 원하는 것을 기도한다. 그뿐만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