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단체 7

00선사(00禪師)

00선사(00禪師), 안녕하신가? 2020년 오늘은 1919년 3.1.만세운동을 기념하는 날이지만 코로나19의 창궐로 인해 대중 집회가 이루어지지 않아 나름 생각도 많이 드네. 그 폐렴전염병이 세계적으로 번져가고 있어. WHO가 주목하고 있는 이 사태는 21세기에 주어진 또 하나의 암호해독의 열쇠이자 모든 국가, 사회, 신앙단체, 종교단체에게 던지는 경종(警鐘)의 소리라고 생각하지. 그동안의 세계적 사례가 이를 증거하고 있기 때문이네. 20대에 뜻을 세워 독일로 유학 가서 공부했고 고국에서 뜻을 펼치고자 귀국하여 계획도 많이 세웠으나 꿈같은 인생과 세월은 나의 의지와 포부를 뒷받침하지 못했네. 먼저 자신의 무능력이 손꼽히며, 중립된 자세로 나의 전문분야에서 학자의 양심으로 살아가는 것도 참으로 어렵고 힘..

Ⅱ. 종교문화경영(학)의 길, 공동선(共同善)의 실천(實踐)으로부터

Ⅱ. 종교문화경영(학)의 길, 공동선(共同善)의 실천(實踐)으로부터 세계의 각 신앙단체마다 주장하는 신(神)의 형상과 메시지가 있다. 그러한 신 또는 신적 존재를 경외하고 그의 가르침을 따르며 인간의 도리를 행하라고 전하는 것은 각기 다른 단체임에도 불구하고 내용상 큰 틀에서 차..

종교문화경영의 11단계 – 문화상황화 2) 다이어그램(diagram) 15 - 문화상황화(文化狀況化)시대의 무대응

2) 다이어그램(diagram) 15 - 문화상황화(文化狀況化)시대의 무대응 기호설명 A: 자국의 사상단체(=종교)와 전통문화 B: 타국(他國)이나 자국(自國)의 사상ㆍ신앙단체(=religion)와 문화 C: A와 B가 상호 융화된 정신문화의 공유영역과 최소한의 사회적 기능 및 역할담당 사상단체나 신앙단체가 사..

Ⅰ. 디지털시대와 종교문화의 이해 1. 종교적 사상과 의례적인 행위

1. 종교적 사상과 의례적인 행위 오늘날 다양한 사상단체, 신앙단체, 이슬람교와 그리스도교계통의 신앙단체가 공존하고 있다. 그들은 그들의 지역적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상호간에 필요한 문화성장의 단계와 절차과정을 거쳐 안착(安着)된 상태에 있다. 하지만 공동체사회문화에서 신..

제 4장 종교와 문화의 습합(習合)사상 ①~②

제 4장 종교와 문화의 습합(習合)사상 일부 신앙단체는 종교(宗敎)와 문화(文化)사이에 신(God)의 섭리(攝理)가 존재하고 있어 독특하고 유일성이 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동양의 한자문화권 지역에서 신의 섭리는 유일신의 개념이 아닌 자연의 이치로 보았다. 인간의 종교와 문화는 유일성보다는 상호간에 끊임없이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습합사상과 조력(助力)적인 기능과의 밀착관계를 유지하며 인류문화를 발전시켰다. ① 종교와 문화라는 것이 외형적으로 두(2)개의 개체로 생각할 수 있으나 현상세계에서는 서로 조화롭게 융화되어 하나(1)의 형체로 드러난다. 그것은 그러한 것(其然)과 그렇지 않은 것(不然)의 논리 즉 ‘불연기연(不然其然)’2)의 논리에 의해 형성된다. 불연기연의 논리는 패러독스(paradox)적인 ..

Ⅱ. 종교문화경영의 현 상황파악과 시대성과의 조우(遭遇)

Ⅱ. 종교문화경영의 현 상황파악과 시대성과의 조우(遭遇) 현대사회는 과학발전과 더불어 종교문화의 이해를 실용적이고 국가적 가치차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신앙단체와 신앙생활이 개인의 안정과 평화 및 행복 등을 위한 것 외에 공동체사회에 어떠한 역할과 기여를 했..

3) 종교현상학(Religionsphänomenologie)적 고찰

3) 종교현상학(Religionsphänomenologie)적 고찰 종교현상학(宗敎現象學은 정신세계와 연관된 공동체사회문화의 현상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는 다양한 종교와 종교문화현상에 관한 생철학 구조, 인식체계, 상징적 요소, 역사적 의미, 공동체형성 등을 세분화시켜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것은 종교적 풍토, 성향, 가르침, 공동체의식, 공동체의 성장, 발전상황 등을 주시하고 있다. 이와 연계된 전공분야가 민족학, 역사학, 인류문화(사)학 등으로 발전되었다. 종교현상학적 고찰(考察)은 종교와 religion현상의 주체적인 것과 공동체사회문화의 기능 및 역할을 현주소에서도 발견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므로 종교사회문화의 본질과 속성을 다루는 것은 그의 시대적 추이(推移)와 반향(反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