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장 종교문화경영학-단계와 과정

2) 다이어그램(diagram) 3 문화이식 - 문화전파의 비(非)상호관계

학담(學潭) 2019. 8. 1. 20:02

2) 다이어그램(diagram) 3 문화이식 - 문화전파의 비(非)상호관계







㈎ 기호 A(=자국문화) 설명:  


① 근대화시기의 자국(自國, 대한제국 또는 그 외의 약소국가 포함)의 유구한 전통ㆍ전승ㆍ사회문화와 다양한 종교ㆍ정치ㆍ예술 등을 통칭한다. 

② 예컨대 한국(韓國)의 유구한 전통문화를 누천년 간 계승하며 성장ㆍ발전시켰다. 선(仙)ㆍ유(儒)ㆍ불(佛)ㆍ도가(道家) 등의 학문과 사상이 조화롭게 융화되어 생활 속의 사상문화, 공동체사회의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③ 한국의 유구한 전통ㆍ전승문화(종교문화 포함)ㆍ예술 등을 통해 형성 된 한국인의 종교성, 인생관, 세계관은 생활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고 그러한 사상은 상호간에 조화롭게 융화되어 토착화를 이루고 있다. 일즉다(一即多) 다즉일(多卽日)의 유형 속에 공공성과 사회적 가치성을 두루 포함하고 있다.         


 ㈏ 기호 B2 설명:

 

① 서양 그리스도교의 전승문화(religion문화 포함)ㆍ예술ㆍ과학기술 등을 통해 형성된 서구의 종교성은 인생관, 세계관과 생활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② 서구의 신앙문화ㆍ사회문화ㆍ예술ㆍ과학기술 등이 한국의 근대화시기에 한국의 전통사회문화에 유입되어 그 기능의 일부가 성장 발전되었거나 또는 소멸되었다.    

③ 그리스도교는 자국(또는 타국)의 유구한 전승문화ㆍ종교ㆍ예술ㆍ근대사회문화ㆍ인생관 및 세계관 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④ 제국주의적 식민주의정책을 펼친 서구의 열강(列强)들과 일본(日本)의 사례



문화전파가 열강의 정치적 개입과 군사력을 동원시켜 비(非)상호적 관계로 진행되면, 순식간에 문화이식으로 전개된다. 한국의 근대사를 살펴보아도 강대국에 의해 자국의 전통문화가 말살위기에 처해졌다. 처참한 국가적 상황과 그로 인한 사회적 혼란 그리고 도탄(塗炭)에 빠져 있는 국민의 생사문제와 비참하게 발생된 수많은 사건들은 모두 문화이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그와 같은 문화전파의 비(非)상호적인 관계는 문화이식(移植)의 결과로 드러난다는 것을 다음의 다이어그램 4는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