⑤ 종교적 정신과 사상적 맥락은 종교문화의 기저(基底)층을 형성하여 공동체사회문화를 구축하는데 일조했다. 공동체사회문화는 다시 인간의 종교적 심성 또는 종교적 성향에 영향을 주고 있다.
각 국가와 지역의 공동체사회문화를 아우르는 포괄적 개념이 인류문화다. 인류문화가 지향하고 있는 객관적이고 보편성을 추구하는 것은 세계 공동체문화의 기능이자 역할이다.
세계인이 공유한, 인류사가 내재된 수많은 공동체사회문화들이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각국의 독특한 문화에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 종교문화의 이해는 공동체사회문화의 속성을 밝히는데 도움을 준다.
종교문화와 공동체사회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통섭(統攝)은 종교문화경영에 대한 기본적인 안목을 필요로 한다. 현재와 미래의 종교문화경영에 필요조건으로서 지도자의 숙지사항과 역할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사안은 이 책의 제 7장 디지털시대의 종교문화경영에서 다루었다.
⑥ 인류문화사에서 발견되는 성현들의 말씀과 정신세계의 문화가 문자를 통해 편집되고 정리된 것이 경전(經典)이다. 경전은 인간의 삶과 사상 그리고 삶의 방향과 목적 등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인간이 만들어 낸 문화와 문화재(文化財)는 인간의 삶과 정신세계의 문화를 차원 높게 압축적으로 표현한 작품이기 때문에 문화를 사랑하는 세계인에게 공감대를 형성한다. 그에 대한 창작기법과 영성적 세계는 공감의식을 통해 경이로움을 거쳐 새로운 영감의 세계를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인류문화의 소산(所産)은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정신적 보고(寶庫)이자 귀중한 유ㆍ무형의 문화재가 되어 세계인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인류의 자산(資産)이 되었다.
그 자산은 오늘날 디지털시대사회의 문화로 연계되어 세계인과 함께 관찰과 보호 그리고 보존의 가치가 되어 지구촌시대의 공동체사회문화로서 공유문화재가 되었다. 이와 같은 인류문화와 문화재가 인류문화사에서 주목받고 있는 것은 바로 사상적 가르침이 학습되었고 또 그렇게 체험된 종교문화와 직결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따라서 종교가 무엇이며 종교를 기반으로 형성된 공동체와 공동체사회문화의 형성과정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그 다음에 오늘의 문화현장을 직시하는 것은 종교문화경영의 방향과 핵심을 간파하고 문화경영의 패러다임을 분석하는 데 있다. 같은 맥락에서 인류의 종교문화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것은 그 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양상(樣相) 모두를 아우르고 있는 것, 그런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 핵심요소가 무엇인가를 우선적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종교문화경영인에게 다문화사회와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배려 그리고 보다 더 나은 문화경영능력과 지도력함양은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에서도 아카데미지도자상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공동체사회문화와의 공생, 공존, 공익 그리고 공영의 원리는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상생원리와 법도에 부합된다. 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1)은 현재의 상황을 직시하고 상호존중과 배려 및 소통할 수 있는 상생의 인자(因子)를 발굴해야 한다. 그것은 사람을 사랑하는 가르침에 충실하도록 이끌어 공동의 평화를 정착시키는데 일조(一助)할 수 있다.
각주
1)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의 단계와 과정은 제 8장에서 상세히 다루었다.
'제 5장 디지털시대와 종교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Ⅱ. 종교문화와 공동체사회문화 2. 공동체사회문화 ③ ~④ (0) | 2019.08.24 |
---|---|
Ⅱ. 종교문화와 공동체사회문화 2. 공동체사회문화 ① ~② (0) | 2019.08.24 |
Ⅱ. 종교문화와 공동체사회문화 1. 종교적인 문화현상 (0) | 2019.08.24 |
Ⅱ. 종교문화와 공동체사회문화 (0) | 2019.08.24 |
Ⅰ. 디지털시대와 종교문화의 이해 3. 종교문화의 소산(所産)에 대하여 (0) | 2019.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