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장 종교문화경영학-단계와 과정

12. 종교문화경영의 12단계 – 문화세속화(文化世俗化) 1) 문화세속화의 의미

학담(學潭) 2019. 9. 12. 07:49

12. 종교문화경영의 12단계 – 문화세속화(文化世俗化, cultura saecularisation, culture secularization)

 

문화세속화의 전(前)과정에서 일구어낸 조화로운 문화융화의 공간이자 상호간에 소통의식을 이끌어 낸 문화광장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공동선을 추구한다. 그 선의 이념과 실천은 지상평화를 이룰 수 있는 상생의 가치(공생, 공존, 공유 그리고 공영)를 제공한다. 세계적인 평화교육프로그램이 국제적인 차원에서 가동(稼動)되어 생활환경에 이르기까지 전개되기 위해 국내, 국제적인 문화세속화는 필연적이다. 비유적인 차원에서 이종(移種)된 문화나무의 뿌리가 건실하게 활착할 수 있는 사상적 토양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한다. 그래야 21세기 문화의 세속화는 지속 가능하다. 따라서 세속화의 의미가 다의적(多義的)으로 사용될 수 있어 문화세속화의 의미가 무엇인가에 대해 밝혀보고자 한다.

 

1) 문화세속화의 의미

 

세속화(독어 Secularisation, 영어 secularization)의 반대용어는 신성화(Heiligkeit)이다. 신성화는 사상적 존재와 산물(産物)이 변화(變化)되지 않는 속성(屬性)으로 격상(格上)되어 그에 대한 존경과 경외 나아가 숭배의 대상이 된 것을 통칭한다. 그 반면에 세속화(世俗化, secularization)는 세상(世上)의 일반적인 범주(範疇)에 포함되어있어 변화되는 것을 뜻한다. 일반적인 범주라는 것은 자연과 삶속에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속성을 지닌 유개념(類槪念)으로서 더 이상 일반화시킬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세속화의 용어가 독일어로 프로판이지어룽('Profanisierung', 영어 Profanization) 또는 세쿨아리지어룽('Säkularisierung', 영어 secularization)으로 표현된다. 그 중에 'Säkularisierung'은 사회적, 문화적 신성 및 신앙을 부정하는 포괄적 의미가 아니고 일반화되는 것이기 때문에 '세속주의'(世俗主義, 'Säkularismus', secularism)와 구별된다.

 

영어 'profane'〔라틴어 'profanus; 신전(神殿)의 외부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라는 용어는 흔히 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것과 인간적인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세속적(世俗的)이라고 한다. 영어 'secular'의 개념은 인간의 눈에 보이는 지상의 현세(現世)를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에 '세속'은 때와 장소 그리고 환경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변하게 하는 것, 변화의 주체는 무엇이며, 왜 변해야 하는가? 그리스도교의 이분법적 논리가 신학사상과 신앙인의 삶에 어떠한 양태(樣態)로 존재하는가? 이에 대한 의문은 먼저 그리스도교 신앙단체에서 논구된 세속화의 의미부터 풀어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