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그리스도 교회사와 전쟁사의 관계 서로마가톨릭교회의 교황(敎皇) 우르바누스 2세(Urbanus I I, 1035~1099)는 신앙의 대상이자 신의 아들 예수의 이름으로 1차 십자군 원정(1095~1099) 전쟁을 일으켰다. 그 전쟁의 원인과 명분은 예수의 무덤이 있는 곳인 성지탈환이다.
11세기 중엽 이슬람 제국의 세력은 현재 이라크 의 바그다드 지역까지 점령하여 다스릴 만큼 강성해지며 그리스도교의 예 루살렘 성지순례가 방해받으면서 성전(聖戰)의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그 전쟁(1095~1270)은 학자마다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으나 200년 동 안 여덟 차례 이상 일어났다. 그리스도교 국가들이 연합한 1차 십자군 원정 전쟁은 승리였다. 하지만 그 이후의 전쟁은 이슬람군의 치열한 반격(反擊) 으로 패전했다. 그 가운데 1차 십자군 전쟁은 가장 처참하고 잔인했으며, 헤아릴 수 없이 수많은 사람의 생명을 앗아갔다.
가톨릭 제국의 통치와 신 앙경영은 바이블 구약에서 설명된 신 야훼(Yahweh)의 다양한 형상을 본받 은 것처럼 보인다. 유일신 사상으로 무장한 가톨릭 제국의 십자군 원정 전 쟁은 유럽 교회사에 남겨진 참혹한 악행이며, 인류 문화사에 야만적인 역 사적 사례로 기록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유럽의 그리스도 교회사에 정통과 이단을 구별해 척결 하기 위해 벌어진 교리논쟁은 예수에 대한 분쟁 점화와 유혈(流血) 전쟁으로 번져 유럽의 전쟁사와 교회사가 되었다.
그리스도교를 신봉하는 서구의 각 나라는 그리스도 교회사의 범주를 벗어나 자국의 보편적 역사가 있었 는지,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세계 종교문화사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돌이켜봐야 할 것이다. 유일신 신앙과 religion 전쟁을 논하지 않고 는 서구(西歐)의 교회사와 역사를 제대로 알 수 없을 만큼 밀착된 불가분 (不可分)의 관계가 형성된 탓이다. 결국 예수의 본래 가르침과 그리스도교 로서의 보편적 기능이 크게 상실되고 변질해 서구의 교회사는 전쟁사가 되 었고, 그 전쟁사 또한 서구 역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제 9장 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 – 보편적 사회 가치 창출과 환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세계 그리스도교제국의 식민지정책과 선교정책 (0) | 2022.03.07 |
---|---|
3) 그리스도 교회사와 전쟁사의 관계 (2) (0) | 2022.03.07 |
2) 동ㆍ서로마제국의 그리스도교화(2) (0) | 2022.03.07 |
2) 동ㆍ서로마제국의 그리스도교화(1) (0) | 2022.03.07 |
1) 그리스도 교회사 – 그리스도제국의 형성사 (0) | 2022.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