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장 상생법도(相生法道) – 자연생태학의 관점에서
상생(相生)법도의 개념과 의의가 동양사상의 관점에서 많은 사람들에 의해 백인백색(百人百色)으로 논구(論究)되었다. 하지만 그 의의를 과학사상과 접목시켜 풀어보는 것은 신앙단체의 사상적 범주를 뛰어 넘어 시대적 연구 상황에 부응하기 위함이다.
상생법도의 글자구성이 어떻게 되어있는가를 하나하나씩 상세하게 해체한 다음 그것을 다시 파자(破字)풀이를 통해 어떤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분석해서 설명하는 것은 또한 색다른 방법이다. 상생법도의 의의가 서구철학사상과 종교문화현상학의 관점에서 무엇을 제시하고 있으며, 현대 자연생태학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 가를 다루어 보고자 한다.
과학적 인식에서 종교적인 논리와 그 반면에 종교적인 논리가 과학적 인식에서 교차적으로 탐구되고 있어 폭넓은 인식의 세계와 사상적으로 풍요롭고 밝은 미래사회가 기대된다. 상호간에 부합되는 의미와 타당성이 존재하는 가에 대해서 궁구하는 것은 현대인의 의식세계가 반영된 것이다. 그것은 또한 현대사회의 문화가치를 되돌아보고 새로운 문화가치의 창출 및 공공성을 이어가는 과정이자 길이 된다. 따라서 과학적 종교논리, 종교적 과학논리, 서로간의 객관성과 타당성 및 보편성 등은 앞으로도 계속 제기되어야 상호호혜적인 관점에서 상생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상생의 개념이 다양한 분야에서 합목적성을 가지고 논의되고 경영의 차원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상생문화는 인류의 공생(共生), 공존(共存), 공유(公有) 그리고 공영(共榮)문화를 이끌어가는 인도주의적 대의를 모두 가지고 있어 인류문화를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시키는 동력의 매개체가 된다. 상생문화와 과학문화는 별개(別個)의 영역이 아니고 하나다.
자연과학문화는 상생문화의 정신에서 발전되어야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다. 근대화시기에 과학문명을 이끌었던 서구사상의 토양과 핵심은 무엇인가? 왜 오늘날 동서의 많은 사람들이 자연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가? 이에 대한 문답이 현재와 미래사회를 위해 국제적인 관심사로 부각되었다. 그러한 차원에서 예컨대 그리스도교사상과 노장사상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자연생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그 목적은 상생법도의 개념과 의의가 현대과학의 생태학적, 우주물리학적 차원에서 문제점과 해결해야할 점 그리고 되돌아보아야 사항은 무엇인가를 제시하는 데 있다.
Ⅰ. 상생법도의 개념분석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단어(單語)의 70%이상은 상형문자인 한문(漢文)에서 나왔다. 상형문자(象形文字)는 자연의 현상과 생명 그리고 다양한 형상적 의미 등을 함축적으로 표현된 것이므로 또한 표의문자(表意文字)라고 한다. 그러한 문자의 뜻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단어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를 나누어 구분하고 분석하는 것이 설문해자(說文解字)이다.
설문해자는 단어의 구성과정을 파악하고 그 단어의 쓰기 순서대로 하나하나씩 세분화시킨 다음에 그것을 다시 여러 각도에서 해석하여 적합한 의미를 찾아내는 작업이다.
'제 6장 상생법도(相生法道) –자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생태학의 관점에서 Ⅰ. 상생법도의 개념분석 3) 상생(相生) - 음양오행사상과 현대 물리학적 의미 (0) | 2019.08.25 |
---|---|
-자연생태학의 관점에서 Ⅰ. 상생법도의 개념분석 2. 상(相)ㆍ생(生)의 개념과 의미 2) 생(生)자(字) (0) | 2019.08.25 |
-자연생태학의 관점에서 Ⅰ. 상생법도의 개념분석 2. 상(相)ㆍ생(生)의 개념과 의미 1) 상(相)자(字) ② (0) | 2019.08.24 |
-자연생태학의 관점에서 Ⅰ. 상생법도의 개념분석 2. 상(相)ㆍ생(生)의 개념과 의미 1) 상(相)자(字) ① (0) | 2019.08.24 |
-자연생태학의 관점에서 Ⅰ. 상생법도의 개념분석 1. 설문해자(說文解字)활용에 대하여 (0) | 2019.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