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장 상생법도(相生法道) –자연

Ⅲ. 그리스도교와 도가(道家)의 자연관에서

학담(學潭) 2019. 9. 5. 12:33

Ⅲ. 그리스도교와 도가(道家)의 자연관에서

 

인간의 건강한 삶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는 자연은 조화로운 생태계환경을 유지시켜 준다.

하지만 인간이 왜 자연의 생태계환경을 파괴하는 주범이 되었는가에 대해 돌이켜보아야 한다.

서구의 그리스도교와 자연친화적인 동양사상 가운데 도가(道家)사상은 자연환경을 어떻게 보고 이해하였는가에 대해 비교적 안목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도가의 자연사상은 노장(老壯)사상에서 찾을 수 있다. 노장사상의 자연관은 그물망처럼 연결된 만유생명의 질서가 왜 중요한가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그리스도교는 자연을 정복의 대상으로 이해했다. 그의 자연관은 서구의 산업혁명을 주도했고 현대과학을 발전시켜 인류에게 문명의 이기를 제공했다.

그 반면에 자연환경파괴와 오염은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어 국제사회에 경종(警鐘)이 되었다.

그러므로 현대사회의 환경문제를 생태학적 안목에서 살펴보는 것은 대자연의 삶이 생명의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음을 밝히며

자연통섭(自然統攝)사상의 의의를 설명하는 것이다. 그와 같은 분석 작업은 친환경 생활문화운동을 이끄는 시대정신과 부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