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장 종교문화경영학-단계와 과정

12. 종교문화경영의 12단계 – 문화세속화3) 성속일여(聖俗一如) - 비신화화(非神話化) ㈑ 성속일여의 프로세스(process) - 인류문명사의 본질

학담(學潭) 2019. 9. 12. 08:06

㈑ 성속일여의 프로세스(process) - 인류문명사의 본질

 

세계의 생명존중사상에는 공공성과 보편성을 지향하는 실용적 상생의 가치가 내재되어 있다. 그것은 공동체사회문화에서 생황내존재로 현시(顯示)되고 있어 중요하게 다룬다. 때문에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공생과 공영을 위해 과학문화의 보편화와 세속화의 진행과정은 당연히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래서 과학종교는 생명존중사상에 대한 진솔한 각성촉구와 사회적 덕목을 함양시키는 공동선의 실천을 추구한다. 그것은 또 인류의 공공성과 문화적 가치를 위해 열매맺어야할 과업(課業)이자 인류문명사의 보감(寶鑑)이 된다.

 

일부 신앙공동체에서 부정적인 의식을 가지고 사용하기를 기피(忌避)하는 용어 중에 하나가 세속화이다. 그 용어가 혼합주의(混合主義, syncretism)라는 의미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공동체사회문화의 습합(習合)현상이자 인류문명사로 성장ㆍ발전되어 가는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 인간의 삶에 실용적이고 보편타당성을 부여한 것이 현실문화의 속성이자 세속화과정에서 변화된 생활문화의 양태이다.

 

생활문화의 자연스러움에는 성속의 구별이 없으나 인위적인 교리개념을 개입시켜 성속의 영역을 구별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과학적 의식과는 별개의 논리다. 성(聖)과 속(俗)이 함께 인류문화사와 문화재에 내재되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syncretism의 개념이 유일신관의 관점에서 부정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인류의 종교성과 종교문화 그리고 그리스도교의 문화도 그리스도교회사에서 살펴보면 syncretism의 범주에서 자유롭지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