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親舊)와 행복이란?
세월을 아끼라는 차원에서 공자는 일찍이 인생을 단계별로 정리해 놓았고 삶속에 학문과 친구 그리고 정신적으로 군자와 같은 행복을 이곳, 저곳에 설명해 놓았다.
그는 20세를 뜻하는 약관(弱冠), 30은 이립(而立), 40은 불혹(不惑), 50은 지천명(知天命),
60은 이순(耳順) 그리고 70은 종심(從心)이라 했다. 70세를 다른 말로 고희(古稀)라고 하며 요즈음은 가족끼리 고희를 맞이했다고 축하한다. 고희라는 용어는 당나라 시인 두보의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에서 나왔다.
평균 수명이 늘어난 요즘에야 '고희'라는 말이 무색해졌지만 옛날에는 고희를 넘기는 사람이
많지 않았다. 고희라는 언덕에 와보니 이 세상에서 누릴 수 있는 복(福) 중에서 가장 으뜸은 단연 "만남의 축복"이다. 그중에서도 배우자와의 만남, 친구 간의 만남은 단연 으뜸일 것이다. 잘 만나면 인생 최선의 행복이요, 잘못 만나면 재앙이다. 부부는 평생의 동반자이고
친구는 인생의 동반자이기 때문이다.
노년이 되면 인생을 함께 걸어갈 친구가 매우 중요하다.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의 삶은 나 혼자만이 아니라 누군가와 함께 동행을 하면서 평생을 살아가야하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은 부모 형제와 동행을 하면서 살지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친구들을 사귀게 된다.
어떤 친구는 형제보다도 더 친밀해 지기도 한다. 문제가 생겼을 때 상담할 수 있는 친구,
다른 사람에게 밝히고 싶지 않는 일도 털어 놓을 수 있는 친구, 마음이 아플 때 의지하고 싶은 친구가 있다면 그 어떤 것보다도 소중한 자산이 아닐 수 없다.
논어 1장 학이(學而)편에 공부함에 즐거움(學而時習之, 不亦說乎?) 친구의 방문에 즐거움(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성내지 않음은 군자(=사람다운 사람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가 아닌가? 라고 공자는 만인에게 질문을 던졌다. 이 세 가지 중에 멀리서 찾아온 친구는 참으로 반갑고 즐겁기 그지없는 소중한 사람이다.
진실하고 강한 우정을 쌓은 사람들이 오래 살고, 행복하며, 활기찬 인생을 산다는 연구발표가 있다. 투자의 귀재 워렌 버핏(Howard Buffet)은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나는 내가 좋아하지 않거나 존경할 수 없는 사람들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인도 힌두 속담에 "우리는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들과 비슷해진다"라는 말이 있다.
명심보감 성심편 하(省心篇 下)에 명나라시대 왕량(王良)은 "그 사람을 알려면 그 친구를 봐라 欲知其人 先視其友)“"라고 했듯이 주변 환경이 사람에게 대단히 중요하다.
인향만리(人香萬里 사람의 향기는 만리를 가고도 남는다고 했듯이 내 몸에, 내 주위에 악취가 나지 않도록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리스 윤리 철학의 창시자 에피쿠로스(Epicouros)는 “한 사람이 평생을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 중에 가장 위대한 것은 친구” 라고 했다.
주어진 삶을 멋지게 엮어가는 위대한 지혜는 우정(情)이다.
영국의 시인이자 화가인 월리엄 블레이크(William Blake)는 "새에겐 둥지가 있고, 거미에겐 거미줄이 있듯이, 사람에겐 우정이 있다." 는 말을 남겼다.
신은 인간이 혼자서는 행복을 누릴 수 없도록 하였다. 주위 사람들을 칭찬하고 자신도 이웃과 친구에게 필요한 사람으로 살아야 인생(人生)이 아름답고, 행복(幸福)해 진다.
모든 관계 속에서 인간의 운명은 결정되기도 하니 운명은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통한 선택일 뿐이다.
2020. 11.29.
'오늘의 단상 그리고 내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화미소(拈花微笑) (0) | 2021.09.07 |
---|---|
낙정하석(落井下石) (0) | 2021.01.14 |
종교(宗敎)와 religion (0) | 2019.12.10 |
무색(無色), 무취(無臭), 무상(無相)의 마음, 천하를 감동시킨다. (0) | 2019.10.19 |
내일이 있기에 (0) | 2019.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