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종교(宗敎)와 Religion

Ⅲ. 종ㆍ교(宗ㆍ敎)자의 분석 -1. 종ㆍ교(宗ㆍ敎)의 개념

학담(學潭) 2019. 7. 28. 17:55

1. 종ㆍ교(宗ㆍ敎)의 개념 - 수행과 학습을 병진시키는 교육방법으로 

 

필자는 종ㆍ교(宗ㆍ敎)에 관한 어원적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여러 참고문헌을 살펴본 후 아래와 같이 큰 틀에서 정리하고자 한다. 먼저 마루 종(宗)자는 으뜸이 되는 궁극적인 진리(siddhanta)를 뜻하기 때문에 종교(宗敎)의 개념은 원론적으로 ‘궁극적인 진리에 대한 가르침’이다. 

우리의 선조(先祖)님들은 종ㆍ교(宗ㆍ敎)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이전에 성현(聖賢)들의 가르침을 배우며 때때로 익히고(學習) 존중하면서 따르는 사람을 학인(學人)이라고 했다. 학인은 통상적으로 그들을 신앙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깨우침을 주신 스승 또는 위인(偉人)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학인의 계보(系譜)가 혈통(血統)이나 신앙단체소속의 계보가 아니라 사상적(思想的) 계보를 이루고 있음이 분명하다. 그것은 또한 정신적 가통(家統)이 되어 선가(仙家)ㆍ유가(儒家)ㆍ불가(佛家)ㆍ도가(道家)로 분리되어 언급되었고, 현시대에서도 그렇게 사용되고 있다. 

선ㆍ유ㆍ불ㆍ도가에서 사용된 종(宗)과 교(敎)라는 용어는 수행과 학습을 병진(竝進)시켜가는 교육의 매개체로서 사용되었다. 심신(心身)을 연마(鍊磨)하고 삶의 원리를 체득하는 교육방법 중에 종(宗)ㆍ교(敎)가 중핵이 되었다. 그 방법은 다양한 불교경전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학문의 큰 틀과 윤곽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예컨대 불도(佛道)ㆍ불법(佛法)ㆍ불교(佛敎)의 종지(宗旨)가 무엇이며 핵심적 의미를 찾아 밝혀내고 그의 사용처를 제시하고자 하는 문답의 근거자료로 종(宗)ㆍ교(敎)자(字)가 사용되었다.

 

종ㆍ교(宗ㆍ敎)의 의의는 형이상학(形而上學)의 정수이며 정신세계를 반영하는 가르침들 중에 최고의 가르침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신과학(精神科學)이다. 종ㆍ교(宗ㆍ敎)의 개념은 유가의 경전에서 어떠한 의미로 왜, 어떻게, 무엇을 위해 사용되었고 그 용례는 무엇인가부터 찾아서 궁금증을 해소시키고자 한다.  

 
1) 보다 자세한 설명과 내용은 이 책의 제 1장 종교(宗敎)와 Religion Ⅲ. 종ㆍ교(宗ㆍ敎)자의 분석 5. 불가(佛家)에서 종(宗)과 교(敎)자(字)와 그 의의 참조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