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장 종교문화경영학-단계와 과정

3. 종교문화경영의 3단계 2) 다이어그램(diagram) 5 - 문화접변과정에서의 긍정적인 효과

학담(學潭) 2019. 8. 2. 10:55

2) 다이어그램(diagram) 5 - 문화접변과정에서의 긍정적인 효과






1882년 5월 22일 조선(朝鮮)과 미국과의 공식적인 정치적 외교절차를 통해 조미통상조약(朝美通商條約)이 체결되었다. 그 조약은 조선의 문호개방을 알리는 공식적인 신호탄이 되었고 일부에서는 근대화시기의 출발점으로 보고 있다. 서구문화가 국내로 유입되면서 한국 근대사회문화에 커다란 변화가 발생됐다. 서구문화와의 문화접변은 대체적으로 열강들의 정치적 영향에 의해 진행되었다. 나아가 2차 세계대전 전후에 형성된 동서양의 문화접변은 세계변혁의 시대를 향하는 분수령이 되었고 한국인의 정신세계도 서양문화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문화접변이 직접적인 문화전파의 경로를 통하여 긍정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게 되면, 서로 다른 두 문화는 상호 호혜적이고 균형적인 차원에서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를 하나씩 하나씩 발견하여 활용하게 됨으로써 문화변용이 일어난다. 또 다방면에서 상생할 수 있는 문화매개체가 형성되면 양쪽 문화권의 소통이 원활하게 된다. 이로 인해 형성된 서로간의 다양한 문화적 교류는 사회적, 국제적인 마찰을 최소화시켜가며 상호 협조와 공생적 관계를 유지하며 나름대로의 기능과 역할을 이끌어 낸다. 결과적으로 A와 B라는 두 문화가 정치적, 군사적 지배관계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호간에 문화교류를 긍정적으로 지속하게 된다. 그러한 문화접변과정에서 발견된 유익한 것은 자연스럽게 신(新)문화요소로 받아들여 발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문화접변과정에서 새로운 (서구의) 문화요소들은 (자국의) 전통문화와 어느 정도 공감대와 공통분모를 발견하면서 가치의 세계이자 주어진 현실의 문화체계 속으로 서서히 흡수된다. 


문화접변을 통해 일어난 상호간의 문화변화〔또는 문화변이(變異)〕는 지역적 전통과 특성 그리고 고유성에 따라 가감(加減)될 수 있다. 문화의 변화가 급진적으로 진행되면 전통을 중요시하는 보수(保受)와의 반목과 분란이 일어나 마찰로 이어지기 때문에 대의명분과 실리에 적합한 소통과 조율과정도 순차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각별히 유의해야 할 것은 문화접변과정에서 세련된 종교문화경영의 지식과 안목을 가지고 문화충돌이 유발되지 않도록 절제하고 조화롭게 융화시킬 수 있는 통섭(統攝)적인 조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