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다이어그램(diagram) 9 - ~문화의 사회학습화과정
위에서 제시된 ‘다이어그램(diagram) 9 - 어떠한(~)문화의 사회적 학습화과정’에서 긍정적인(positive) 반응과 부정적인(negative) 반응이 일어난다. 자연스러운 A와 B간의 문화교류는 상호간의 관심과 호감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있어 사회적 문화학습은 긍정적인 반응(p)으로 이어진다. 그 반응은 지역 또는 공동체사회가 타문화를 수용하고 내적으로 문화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뜻이다. 즉 타문화가 지역주민들에게 호응을 받아 그 지역사회문화의 일부로 수용되었음을 설명한 것이다. 타문화가 정부와 민간차원에서 관심과 배려가 호의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신뢰감이 형성되어 사회적 호응과 동참이 순조롭고 원활해진다.
상호간의 협동적인 분위기와 협력관계는 상승세로 이어면서 문화지연의 단계를 뛰어넘어 문화순응(文化順應)1)의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그러나 정부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타문화에 대한 승인절차를 미루는 경우에는 문화지연(文化遲延)2)의 단계가 형성된다. 부정적인 반응(n)은 기존의 지역 또는 공동체사회와 문화충돌을 일으켜 불안감이 증폭되고 사회적 반감이 형성되기 때문에 문화소외(文化疎外)3)기간 즉 사회에서 격리된 시기를 맞이한다. 절대적 신념체계에서 교리와 신조 그리고 신앙심의 증표로서의 언행 등이 강조되지만 현실사회는 보편성, 객관성, 실용성, 합목적성, 대중성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기존의 사회문화를 무시하거나 배려하지 않는 신앙단체의 문화는 지역적 특색에 의거한 다양한 종교문화경영의 과정을 모두 통과할 수 없다. 그러한 단체가 지역사회에서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도 인정받지 못하고 사회와 민심에서 소외되면, 어느덧 정체기에 머물다가 쇠퇴기를 맞이하여 존립의 위기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 타문화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적인 반응과 그의 결과에 따른 종교문화경영의 유형은 어떠하였는가? 이에 대한 역사적 사례를 찾아서 현대적 안목에서 논구하고자 한다.
① 서로마 가톨릭이 조선에 처음으로 전파되었을 때 가톨릭문화는 신진(新進) 유생들에게 의해 나름대로 일정부분 긍정적인 반응과 결과를 남겼다. 이미 위에서 논구되었듯이 서구 과학문명에 대한 소현세자(昭顯世子 1615~1645; 인조의 장남)의 관심이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북벌계획(北伐計劃)4)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조선의 왕자였으나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丙子胡亂) 이후 청나라의 인질이 되어 심양(瀋陽)에 9년 동안 머물렀다. 그는 서양인이 관리하고 있는 북경(北京)의 천문대를 방문하였고 역법(曆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소현세자는 독일인 신부 아담 샬(Schall, J.A., 일명 湯若望)을 만났고 서양 문물들〔천문ㆍ수학ㆍ여지구(輿地球)ㆍ가톨릭서적과 천주상(天主像)〕을 접하게 되었다. 발전된 서구문물들을 본 조선의 학자들은 긍정적인 차원에서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였고, 서구문화의 영향력은 차후 실학사상(實學思想)을 태동시키는 단초를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화시기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서구 그리스도교의 기능과 역할 및 사회적 영향력이었다.
구한말 고종황제시대에 프로테스탄티즘(=개신교)의 선교사는 서구의 의술을 통해 조선왕조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조정과 조선백성들에게 호감을 유발시켰고 개신교선교정책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한국근대사에서 자주 회자(膾炙)되는 가톨릭과 개신교의 선교정책이 교회사적 관점에서 때로는 역사적 의식처럼 설명되고 있다. 한국의 역사와 교회사와의 명확한 구분과 구별이 없으면 한국사의 보편성, 객관성, 공정성, 대중성 그리고 사실성 등이 결여된다. 교회사가 한국의 유구한 역사를 대변할 수 없다. 한국 교회사에 대한 역사적 인식은 그 당시의 시대적 상황, 사회적 역할, 기능, 오늘의 면모 그리고 현주소 등을 통찰적인 안목에서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객관적인 평가로 남는다.
각주
1) 제 8장 Ⅱ. 7. 종교문화경영의 8단계 – 문화순응 참조바람
2) 이 책의 제 8장 종교문화(지도자)학의 단게와 과정 Ⅱ. 6. 종교문화경영의 6단계 – 문화지연 참조바람
3) 제 8장 Ⅱ. 7. 종교문화경영의 7단계 – 문화소외 참조바람
4) 북벌계획은 조선시대 효종 임금이 1649년 청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세운 계획을 의미한다. 청나라의 볼모로 잡혀간 소현세자가 돌아왔으나 의문의 죽음을 당한 후 그의 동생 효종(=봉림대군)이 즉위하면서 북벌계획을 시도하였으나 그가 갑자기 사망하면서 10년 만에 중단되었다.
'제 8장 종교문화경영학-단계와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종교문화경영의 5단계 –2) 다이어그램(diagram) 9 - ~문화의 사회학습화과정 ③ ~⑤ (0) | 2019.08.03 |
---|---|
5. 종교문화경영의 5단계 –2) 다이어그램(diagram) 9 - ~문화의 사회학습화과정 ② (0) | 2019.08.03 |
5. 종교문화경영의 5단계 – 1) 문화학습화(文化學習化 culture enculturation) (0) | 2019.08.03 |
4. 종교문화경영의 4단계 – 문화적응 2) 문화적응시기의 양면성 (0) | 2019.08.03 |
4. 종교문화경영의 4단계 – 문화적응 1) 문화적응(cultura adaptation) (0) | 201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