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장 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 – 보편적 사회 가치 창출과 환원

2. 역사인식과 종교문화경영 – 종교(심)성 탐구에서부터 6) 근대화문화의 물결 - 청국(淸國)의 멸망과 중화인민공화국의 태동(胎動)

학담(學潭) 2019. 9. 18. 08:44

6) 근대화문화의 물결 - 청국(淸國)의 멸망과 중화인민공화국의 태동(胎動)


근대화시기에 일본은 국제적 정세를 파악하고 조선을 통해 청나라로 진입하려는 야욕을 불태웠다. 그 당시 조선과 청국에는 그리스도교 선교사가 활동하고 있었다. 서구의 열강들(영국, 프랑스, 미국, 러시아, 독일) 중에 특히 영국은 러시아의 세력을 견제하며 청국을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청국(淸國)은 그리스도교의 국가와 정치적으로 복잡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고 내부적으로 부패했으며 아편중독자(阿片中毒者)는 늘어만 가고 있었다. 


① 17~18세기경 청국은 영국과의 문물교류가 있었다. 영국은 청나라에서 주로 도자기, 차(茶) 그리고 비단(緋緞)을 수입하였고 청국(淸國)은 영국에서 모직물(毛織物)과 인도의 면화(棉花)를 수입했다. 청나라 사람에게 모직물은 천한 사람이 입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비단은 선호하는 물품이었다. 그 당시 청국과 영국과의 문물교류의 결제화폐(貨幣)는 은(銀)이였다. 영국의 막대한 은화(銀貨)가 결제대금으로 중국에 유입되면서 양국의 무역균형은 점차 깨지기 시작했다. 


영국은 청국과의 무역적자를 해소시키기 위해 전략적 대체품목으로 인도(印度)에서 재배된 아편(阿片)을 청국으로 수출했다. 아편이 청국에서 처음에는 약재로 사용되었으나 청국의 아편중독자는 급격히 늘어만 가고 있었다. 결국 청국(淸國)은 영국과 아편전쟁(阿片戰爭 Opium Wars, 1차 1839~42, 2차 1856~60)을 치렀으나 영국에 패(敗)하여 엄청난 전쟁비용배상금을 지불해야만 했다. 


1842년 청국은 전쟁비용배상금(=1200만 달러와 아편몰수에 대한 2100만 달러의 보상금)을 지불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이 제시한 불평등한 난징조약(南京條約)을 수용했다. 그 조약에 따라 다섯 개 항구〔광저우(廣州), 샤먼(廈門), 푸저우(福州), 닝보(寧波), 상하이(上海)〕가 개항(開港)되어야만 했다. 먼저 상하이가 개항되었고 홍콩이 영국의 조차지(租借地 Leased territory)로 할양(割讓)되었다. 1898년 영국은 홍콩과 그 주변 섬 지역의 해역을 99년간 임차한다는 협정을 청국과 체결했다. 


난징조약은 동양 최초의 국제조약이 되었고 홍콩은 영국의 보호아래 오늘날 중국본토의 사회주의정치와 무관하게 무역중심의 자유항구가 되었다. 영국은 홍콩을 99년 동안 식민지로 다스린 다음에 1997년 7월 1일 중국에 다시 반환했지만 홍콩은 실제로 135년 동안 영국의 조차지가 되었다.      


② 근대화시기의 청나라 제 12대 마지막 어린 황태자(당시 3세) 푸이(溥儀 Puyi, 1906~1967)가 성장하여 황제가 되었다. 하지만 외세에 의해 국력이 미약해졌고 황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청나라 제국은 급변하는 근대화의 물결 속에 혼돈의 세계를 맞이했고 사회는 전국적으로 혼란하고 위태로웠다. 그러한 상황을 지켜보고 있던 서구의 많은 가톨릭 신부와 개신교 목회자는 하나 둘씩 자국으로 귀국(歸國)하기 시작했다. 청국의 위기상황을 수습하기 위해 새로운 지도자들이 등장했다. 


1905년 8월 20일 쑨원(孫文, 孫逸仙, 1866~1925)을 중심으로 결성된 중국혁명동맹회가 일본 도쿄에서 중국의 최초 정당으로 발족(發足)되었다. 그 동맹회가 1906년부터 청조(淸朝)타도의 목표로 여러 번 무장봉기를 일으켰으나 자금 및 무기부족, 계획누설 등으로 번번이 실패했다. 그 후 무장봉기는 광둥성, 산시성(산서성), 산시성(섬서성), 상하이, 장시성, 저장성, 후난성 등의 지역에서 일어났다. 그러한 지역의 대표자들이 한커우(Hankou)의 영국 조계지(租界地)에서 모임을 갖고 1911(辛亥)년 10월 10일 중화민국임시정부를 수립했다. 쑨원(孫文, Sūn Wén)이 초대 대총통으로 선출되었다. 그러한 역사적 기록은 신해혁명(辛亥革命)으로 표현됐다. 손문이 주도적으로 이끌었던 신해혁명은 중국의 많은 인민들에 의해 지지를 받았다. 청국의 황제지배체제는 신해혁명 이후 무너졌다. 1912년 4월 원세개(袁世凱 1859~1916)가 정권을 잡았으나 그가 바랬던 황제의 꿈은 이루지 못했다. 손문은 원세개의 정치야욕을 크게 비평했다. 


③ 1차세계대전후 전쟁의 뒤처리를 위해 1919년 1월 18일 파리강화회의(講和會議, Peace Conference at Paris)가 열렸다. 참가국은 프랑스, 영국, 미국, 이탈리아, 일본이었다. 1919년 4월 21일 파리강화회의의 결정에 따라 당시 독일의 조차지였던 산둥반도(山東半島)를 일본에게 넘긴다는 전보(電報, telegram)가 1919년 4월 30일 베이징에 퍼졌다. 이에 분노한 3,000여 명의 학생들이 중국인민과 함께 5월 4일 베이징의 천안문(天安門) 광장에 집결했다.


5.4운동은 도시와 농촌에서도 큰 반응을 일으켜 중국사회의 커다란 변화의 물결을 일으키는 동력이 되었다. 그 운동은 한국의 3.1독립만세운동에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도 있다. 손문의 유명한 삼민주의(三民主義)는 민족(民族)주의ㆍ민권(民權)주의ㆍ민생(民生)주의이며 그 또한 하나로 연결된 구국(救國)주의자의 사상체계였다. 그의 정치사회문화의 혁신경영은 1918년 국민당의 조직으로 이어졌고 1924년 국민당과 공산당이 합작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손문이 사망한 이후 양당이 치열한 내전을 겪으면서 1949년 오늘날의 중화인민공화국이 출범했다. 비록 손문의 신해혁명은 근대 중국사회의 봉건주의와 식민지구조자체를 변화시키지 못하고 실패했으나 중국사회에 거대한 혁명사상의 토대를 마련한 것은 사실이었다. 손문은 중국 근대사의 인물가운데 빠지지 않고 손꼽힌다. 그의 혁신적인 정치사회문화경영의 결과는 중국역사발전에 원동력을 제공했다고 평가되고 있어 오늘날 많은 중국 지식인들의 자부심이 되었다. 


④ 손문(孫文) 이후 중국의 새로운 지도부는 공자(孔子)사상을 동이(東夷)족의 문화라고 판단하여 공자의 상(像)을 파괴하였고 유교문화와 사당 등을 폐쇄 및 회손 시켰으며 공자의 사회적 위치까지 끌어 내렸다. 그러한 사건은 모택동(毛澤東 Máo Zédōng, 1893~1976)이 설립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와 종교사회문화경영을 주도한 결과였다. 그 와중에서도 불교적 색체를 띤 도교문화가 연명(延命)하고 있다. 오늘날 중국의 실질적인 대중신앙은 도교(道敎)이며 도교사상과 융합된 불교사상이 혼재하고 있다. 구복적인 종교문화사상을 지닌 도교가 중국, 대만, 홍콩 등의 토속종교로 재해석되어 도교문화 또한 자국의 민간사상을 대표하고 있다. 


모택동의 중화인민공화국이 태동한지 100년도 못가서 공자의 유교사상은 2010년 광저우(廣州) 아시안게임을 앞둔 10년 전에 중국천하의 정치이상과 사회주의문화로 다시 각광받으면서 화려하게 등장했다. 그와 같은 사회적 위치와 국가적 위상이 있는 유교가 동양의 종교(宗敎)임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활동무대는 한정되어 있다. 그러한 이유는 근본적으로 어디에 있는 것일까? 유교의 종교사상과 종교적 심성함양은 인간사회의 윤리와 도덕교육 및 도덕실천을 중심으로 한 사상단체이지만 유일신을 경외하며 복을 구하는 구복신앙단체가 아니기 때문이다.


각주

1) https://ko.wikipedia.org/wiki/5%C2%B74_%EC%9A%B4%EB%8F%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