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문화의 습합(習合)사상 ③~④
③ 종교문화는 “세상에 빛과 소금”(마 5:13-16)의 역할을 발휘할 수 있어 공개된 양지(陽地)의 영역 즉 우리가 사는 공동체사회에서 공익을 위해 존재한다. 보편적이고 실용적인 가치를 공동체사회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실천하게 하는 것이 종교(宗敎)적인 운동이다. 그 운동은 공동체사회의 생활문화로 성장 발전되어 의식의 변화를 일으키고 자연스러운 삶의 문화로 인식된다. 유의적(有意的) 또는 무의적(無意的)으로 유지되고 있는 공동체사회문화는 삶의 유익함과 공통분모를 찾아 발전적인 변화과정을 거친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기 위해 문화심리학적인 발상, 새로운 지혜와 창조적 가치와 환원성, 국가적 관심사와 문화경영이 병진(竝進)되어야 한다. 심리학에서 사용된 사회적 집단무의식(集團無意識,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