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장 종교문화경영학-단계와 과정

3. 종교문화경영의 3단계 4) 다이어그램(diagram) 7 - 외래문화의 이중성 문제

학담(學潭) 2019. 8. 3. 12:34

4) 다이어그램(diagram) 7 - 외래문화의 이중성 문제






문화접변과정에서 B가 순수한 문화교류 및 공유범위를 벗어나 정치, 경제, 선교(宣敎) 등의 목적지향적인 의도를 가지고 A를 대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그러한 상황에서 A 단체 (또는 나라)의 여러 가지 (비밀)정보가 B의 (또는 나라)의 단체로 유출되어 B는 A에 의해 문화의 간자(間者)라는 비난을 받게 된다. 문화접변과정에서 발생되는 첫 번째 외래문화의 이중성이 다양한 관점에서 활용되고 있어 주의 깊은 관찰과 대응이 필요하다. 


외래문화의 이중성은 목적지향적인 의도가 분명히 담겨있어 문화의 화장법과 같다고 비유할 수 있다. 외관상 수려하고 때로는 화려하여 아름답게 보이나 장미에 가시가 있다는 말의 의미도 유념하고 되새겨보아야 한다. 상호간의 선입견과 편견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적 참여의식을 높이는 종교문화경영의 차원에서 몇 번은 반드시 직접 참여하여 여러 가지의 관계시스템과 기능 및 역할 등을 주위 깊게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아야 한다. 백문이 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이라는 대의는 종교문화경영학에서 빠질 수 없는 학습참여방법이자 통섭의 역량을 함양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