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장 종교문화경영학-단계와 과정

3. 종교문화경영의 3단계 5) 다이어그램(diagram) 8 - 문화의 간자(間者)

학담(學潭) 2019. 8. 3. 12:43

5) 다이어그램(diagram) 8 - 문화의 간자(間者)




문화의 간자(間者)는 중세유럽시대의 제국주의적 식민지사관에서부터 시작되어 근대사에 이르기까지 왕성하였고 현대사회에서도 암암리에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스도교의 교회사를 살펴보면, 선교사 또는 종군신부는 전쟁 때에도 파견되어 온갖 정보를 수집하여 자국의 윗선으로, 신앙단체의 본부로 보냈다. 서구의 그리스도교는 교리적 목적과 이상세계를 추구하기 위해 수도원에서 많은 수도사를 양성시켰다. 그들 중에 해외 선교사로 파송되면 그는 죽음도 불사하고 선교의 길을 걸었다. 그가 때로는 필요에 따라 문화의 간자가 되어 사회적 반목행위를 부추겼고 도굴(盜掘)행위는 물론 국보급 문화재까지도 해외로 밀반출(密搬出) 시켰다. 


과거와 달리 시대가 변했다고 할지라도 오리엔탈리즘의 큰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백인우월주의사상과 식민주의사상이 본질적으로 근절되지 않은 상태에 있고 문화간자의 프로세스가 새로운 기술적인 차원에서 진행 중에 있다. 이 책에서 언급된 국가들의 과거 국치(國恥)들은 반면교사로 삼고 각고(刻苦)의 노력과 성찰을 통해 미래의 대안이 국가경영의 차원에서 제시되기를 바란다. 문화간자의 역할이 시대마다 반복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것도 또한 자국문화의 발전된 능력이자 능력함양의 기회라는 것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