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종교문화경영의 9단계 – 문화동화(文化同化)
1) 문화동화(culture assimilation)
문화의 동화(同化)는 기존의 토착(土着)문화와 사상 및 전통양식을 받아들여 지역사회 또는 국가적인 문화로 심화(深化)되어 공동체사회문화에 안착(安着)된 것을 뜻한다. 따라서 문화순응의 과정을 한 차원 더 깊게 승화시켜 너와 나의 구별 없는 공통분모로서의 문화영역을 확장하여 함께 공유할 수 있는 폭넓은 문화의 광장을 이룬 것이 문화동화이다.
아래의 다이어그램 13에서 제시된 문화동화는 공통분모로 형성한 C를 중요시 한다. C는 자국(A)과 타국(B) 또는 자국에서 자생한 단체의 종교문화와 장기간의 교류를 통해 형성된 문화동화의 영역이자 모두가 함께 활동할 수 있는 사상적 공유문화의 영역인 동시에 생활문화의 광장이 되었다. 기호 B가 때로는 자국에서 자생한 단체로 비유할 수 있다.
2) 다이어그램(diagram) 13 – 문화동화(文化同化)
일반적으로 문화적응과 순응과정을 거친 후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단계가 문화동화이다. 문화동화는 시대적 변천과 사회적 흐름 속에 너ㆍ나의 부정적인 관계를 상생의 안목에서 극복하고 너와 나 그리고 너와 내가 함께 하는 우리라는 확대된 공동체문화의 개념을 공유하고 있다.
또 그 보다 더 크게 확대된 다문화시대의 공동체사회이자 국가 및 국제적인 공동체조직으로 발전된 문화동화의 공간과 영역이 있다. 그것은 상호간의 문화교류를 활성화시켰고 국제적인 다양한 부분에서 각광받고 있어 21세기 세계문화의 소통공간이자 광장이 되고 있다.
'제 9장 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 – 보편적 사회 가치 창출과 환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Ⅰ. 종교문화경영(지도자) - – 보편적 사회가치 창출과 환원 Ⅰ. 종교문화경영(지도자) 종교문화뷔폐(Buffet)화 시대를 넘어서 (0) | 2019.09.18 |
---|---|
제 9장 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 – 보편적 사회가치 창출과 환원 (0) | 2019.09.07 |
9. 종교문화경영의 9단계 – 문화동화(文化同化) ⑤ ~⑧ (0) | 2019.08.08 |
9. 종교문화경영의 9단계 – 문화동화(文化同化) ③ ~④ (0) | 2019.08.08 |
9. 종교문화경영의 9단계 – 문화동화(文化同化) ① ~② (0) | 2019.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