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종교문화경영(지도자) - 종교문화뷔폐(Buffet)화 시대를 넘어서
인류종교문화의 시원은 여러 연구 분야에서 탐구되고 있다. 그 가운데 인류가 기존 학설 호모사피엔스(Homo sapiens)의 굴레에서 벗어나 호모사피엔스 사피엔스(Homo sapiens sapiens)의 존재로 연구ㆍ분석되고 있다. 호모사피엔스는 인류의 학명(學名)으로 사람과(科) 사람 속(屬)에 속하는 생물분류 체계에서 영장목(靈長目) 종(種)의 아종(亞種)이라는 뜻이다.
민족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문화철학 등에서 논하는 호모사피엔스 사피엔스는 약 4만~5만 년 전에 지구상에 존재하였던, 현생 인류조상에 가까운 지혜롭고 지혜로운 사람 즉 매우 슬기로운 사람을 말한다. 호모사피엔스 사피엔스가 무리를 지어 함께 살았다고 한다. 그것은 질서체제가 확립된 가운데 공동체(共同體)생활을 유지하면서 도덕적 가치기준 등을 가르치고 실천하는 생활문화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정착된 종교문화의 사회적 가치는 무엇인가에 대한 문답이 수 천 년 동안 지속되면서 호모사피엔스 사피엔스로 호칭되는 인간의 존재와 가치가 탐구되었다. 그러한 가치관에 대한 논구와 사회적 공감성은 인문과학뿐만 아니라 자연과학에서도 중요하게 다루면서 과학적 탐구의식은 종교문화와 종교문화경영의 영역도 예외가 되지 않았다.
① 과학(科學)발전과 더불어 과학의 눈으로 살펴본 선현들의 가르침이자 진리로 여겼던 사상단체(=종교)와 유일신 신앙단체(=religion)의 본질과 속성이 널리 알려졌다. 신앙단체의 신학적 안목과 굴레에서 벗어나 분리된 종교학은 과학철학의 이해와 인식을 중요시 한다.
현대 종교학이 다문화의 올바른 이해와 다종교사회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수용과 배려를 촉구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서구의 정치권과 학자들은 2차 세계대전이후 인류의 보편적 생활문화는 평화를 추구한다는 것을 다시 자각했고 종교문화교류를 세계적인 소통과 배려의 차원에서 수용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자연과학(自然科學)과 religion(일반 신앙단체 포함) 그리고 종교(宗敎)와의 만남과 대화는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진행과정을 통해 세계종교문화의 뷔페화시대가 전개되면서 종교문화경영의 다변화를 이끌어 냈다. 이에 인간의 정신세계와 유산으로 남겨진 종교문화와 진리가 과학(科學)적인 연구를 통해 분석되면서 종교의 과학화시대를 맞이했다. 따라서 정신과학과 자연과학의 세계가 함께 공동체사회의 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윤리 도덕적 책무 외에도 실생활에 필요한 사안의 합리성과 공공성을 추구했다. 그것은 오늘과 내일의 실용적 가치세계를 창출할 수 있도록 상호간의 배려와 협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② 정신과학영역에서 자연과학의 원리를 찾아내어 현대사회의 생활문화로 응용하고 또 다방면에 활용하고 있는 21세기 융합기술의 작업은 한국에서도 이미 시작되었다.
유가(儒家)의 논어(論語)와 중용(中庸), 성리학(性理學), 불가(佛家)의 연기론(緣起論), 동양의 음양오행사상 그리고 문화 등은 오래전부터 많은 서구 학자들의 관심을 유발시켜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정신과학과 자연과학이 둘이 아닌 하나의 세계임을 그들은 발견했다. 결국 인간과 자연 그리고 종교사회문화의 실질적 가치와 의의를 탐구하는 것은 과학적 차원에서도 병행되고 있다.
지상평화사상과 인도주의의 실천이 전쟁을 멀리하고 생명존중을 중요시하게 하며 선(善)을 베풀고 도덕적 가치를 살려서 다함께 화평하게 살아가는 것임을 알게 했다. 이로써 세계종교문화는 국제사회에서 뷔페화시대의 상황을 뛰어넘어 인도주의사상을 실천하는데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인류의 생명구제와 자연생태계보호 등은 과학적 차원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어 종교문화경영의 혁신시대가 도래했다. 따라서 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의 역할은 각 단체가 공동선(共同善)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동력(動力)을 제공하고 사회적 가치 환원과 창출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제 9장 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 – 보편적 사회 가치 창출과 환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인류의 종교문화 – 공동선(共同善)추구와 평화 ④ ~ ⑥ (0) | 2019.09.18 |
---|---|
1. 인류의 종교문화 – 공동선(共同善)추구와 평화 ①~③ (0) | 2019.09.18 |
제 9장 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 – 보편적 사회가치 창출과 환원 (0) | 2019.09.07 |
9. 종교문화경영의 9단계 – 문화동화(文化同化) ⑤ ~⑧ (0) | 2019.08.08 |
9. 종교문화경영의 9단계 – 문화동화(文化同化) ③ ~④ (0) | 2019.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