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장 문화(文化)와 Culture

3. 종교현상학적 차원

학담(學潭) 2019. 7. 29. 13:53

3. 종교현상학적 차원



고대 인간의 정신세계는 자연현상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았고 그것은 다시  인간의 정신과 삶의 세계를 지배했다. 자연과 인간의 세계는 신적 존재와 영향력에 의해 종교문화현상의 광장이 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정신세계와 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인간은 자연재해를 극복하고자 대응했고 상호공존에 대한 인간의 부단한 노력은 진행 중에 있다. 정신문화발전과 그에 따르는 문화형성과정 및 전개현상을 순리적인 안목에서 궁구하는 것이 종교현상학적 차원에서 요청된다. 그 가운데 성현(聖賢)들의 지혜와 차원 높은 가르침이 있어 인류의 종교문화가 발전했음에 간과하지 않고 주목해야 한다. 


자연섭리에 순응하고 지역적 풍토에 적응된 현명한 인간, 과학적인 문답(問答)을 구하는 현대인은 지구가 스스로 자정(自淨)시스템을 가지고 있음을 이해했다. 그는 또 순환적 자정과정을 반복하는 자연과의 공존을 수많은 경험과 궁리를 통해 체득(體得)했다. 인류의 궁극적인 가르침(=宗敎)이 지역적 풍토와 특색에 따라 발생되었고, 풍성한 생명력을 발현시키는 대자연의 섭리는 인류의 정신과학과 문화를 성장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인류가 남긴 유ㆍ무형의 문화와 문화재, 지속적으로 승계하고 발전시키는 문화는 다양하게 발현(發現)되었다. 인류문화사는 정신과학과 자연과학과의 조화를 이루어 일구어낸 결과물이며, 종교문화현상의 차원에서 보면 사회적 성숙도에 의거한 열매다. 그러므로 종교와 문화 그리고 종교문화의 상호연관성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큰 틀에서 먼저 통찰해야 보아야 한다. 그 다음에 종교현상의 변화와 진화모습을 분석하고 현 사회의 실상과 역할에 주목해야 한다. 그것은 종교와 religion의 본질과 속성이 어디에 있는가를 보다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정신문화로 발전된 사상세계와 인생관, 세계관 및 우주관 등이 정신세계의 영역이자 종교문화로 전개되었다는 것을 분석하되, 객관적인 입장에서 합리적인 설명과 이해, 보편타당성, 대중성, 공공성 그리고 유구성 등의 유무가 제시되어야 한다.


영국의 인류학자 에드워드 타일러(Edward B. Tylor 1832‒1917))는 religion현상을 인간이 갖는 영적(靈的) 존재(存在)에 대한 지적(知的) 관심(關心)의 결과로 보았다. 먼저 에드워드 타일러가 진화론적 관점을 가지고 원시시대의 인간이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영혼(靈魂)에 대한 관심과 인식 그리고 숭배(animism, animatism)와 의례에서 religion현상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설명했다. 


타일러가 원시문화(Primitive Culture), 하등 민족의 신앙 등의 카테고리(category)화된 용어를 사용했다. 그가 그 시대의 그리스도교의 우월적인 입장을 직ㆍ간접적으로 표명한 것으로 생각되나 부적절한 표현이었다고 생각된다. 그 외에 심리학적 해석을 시도한 폴란드 출신의 말리노프스키(Malinowski1884~1942년), 사회학적 기능의 관점에서 집합표상(collective representation)으로 제시한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Emile Durkheim 1858~ 1917)이 대표적 인물이었다. 자연생태학의 과학적 관찰, 지식의 체계화 그리고 문화의 상징체계의 안목에서 접근할 때 종교현상이 연구되었다.1)

 오늘날 종교현상학은 사상단체와 신앙단체의 형성적 배경과 공동체사회문화와의 연계성을 밝히는 학문으로 그의 연구영역이 넓혀졌고, 종교(宗敎)2)의 본질과 속성 등을 다루고 있다. 합목적성(合目的性)이 담긴 인류의 보편적 진리와 사상은 종교현상학적 차원에서 궁구된 유일신ㆍ신앙단체의 경전에서도 발견할 수 있어 세계적인 종교문화경영의 논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의 대상이 된다.  


각주
1) 한상복․이문웅․김광억(공저), 『문화인류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285~295쪽 참조
2) 종교의 개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 책의 제 1장 종교(宗敎)와 Religion Ⅱ. 종교(宗敎)의 개념과 의의, Ⅲ. 종(宗)ㆍ교(敎)자의 분석 그리고 제 3장 하늘(天)사상과 종교성 Ⅰ. 종교성 참조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