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종교문화의 근간(根幹)에 대하여
대자연속의 인간이 자신의 한계상황(限界狀況)을 바르게 직시하고 알게 될 때 삶과 존재에 대한 의문과 문제의식은 진솔하기만 하다. 의문의 수레바퀴를 돌려가며 궁금증을 해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또한 인간의 정신세계이자 탐구능력의 영역이다.
그러나 인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한 그 어떤 불안, 고민, 죽음과 내세의 문제 등은 삶의 전선(前線)에 또 다른 비가시적인 현상이자 그에 대한 진솔한 물음이지만 미증유의 사안으로 남는다.
그뿐만 아니라 초월적 존재에 대한 인식과 비(非)인식의 세계, 경험과 비(非)경험의 세계, 희망과 절망의 세계 등이 생활 속에 혼재되어 있어 존재와 비존재에 대한 은유적인 문화수레바퀴는 오늘도 소리 없이 종교문화와 함께 돌아가고 있다. 따라서 종교ㆍ문화(宗敎ㆍ文化)의 근간과 상호관계는 역설적으로 무한과 유한세계의 문화수레바퀴라고 할 수 있다.
유한의 존재이면서도 무한한 세계를 동경하고 그 뜻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고 바라는 것은 인간의 마음일 것이다. 마음만큼은 한없이 무한하기에 유한한 육신의 굴레에서 벗어난 정신세계를 추구하는 것은 소우주(小宇宙)를 대표하는 정신문화의 순례자의 길과 같다. 그것은 인간의 종교적 성향이자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내세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기에 사상단체와 신앙단체의 초석이 되어 나름대로의 문화를 잉태한다. 자연적이고 보편적인 삶과 사상을 가르친 동양 종교(宗敎)는 사상단체와 공동체사회문화형성에 초석을 다졌다. 불교사찰의 성격은 공동체 수도원으로서 많은 사람들의 안식처가 되어주어 특히 한국종교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유일신 신앙단체는 religion문화를 제도화시키고 신앙공동체의 삶은 수도원문화를 양성했다. 그 문화는 오늘날 그리스도교의 종교적 요소로서 공동체사회에 일정부분 정신적 영향을 주고 있다. 모든 종교현상들은 인류문화사의 자양분을 제공하고 있으나 종교문화의 형성은 보편적 현상인 습합(習合)사상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 특정한 신앙단체의 religion에 국한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종교는 그 어떤 특수한 형태로서의 유일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경향으로서의 합목적성을 지향하는 다양성과 보편성 등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생활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은 인류문화사의 범종교적 성향으로 성장 발전되었고, 그의 열매는 인류종교문화의 본질이자 속성으로 분석된다. 그것은 대체적으로 선악(善惡)을 권계(勸誡)하고 일상생활의 안녕과 행복을 추구하는 사상적 의식과 기능을 가지고 있어 정신문화의 보고(寶庫)가 된다. 그러나 어떤 신앙단체의 입장에서 특유의 교리이자 기능으로 설명한다면, 그는 어쩌면 영성적 슈퍼은행으로 비유될 수 있어 현실의 안녕과 내세의 구원 그리고 죽음에서 부활이라는 미증유의 세계를 담지(擔持)한다는 것과 같다.
지상에서 마음의 평안과 행복 그리고 미래지향적인 희망비전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인류의 보편정신이며 그 정신 또한 종교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종교문화의 본질을 이루고 있다. 종교(宗敎)문화가 객관적이고 보편적 삶의 길을 제시하고 인류사회의 대중성, 합목정성 그리고 상생의 가치 등을 보유하고 있을 때 세계적인 종교문화이자 인류의 정신문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문화는 또한 종교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어 종교와 문화, 종교문화는 실생활에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담지하고 있다. 그 중에 특히 신앙단체로서 religion의 순기능과 역기능은 여러 각도에서 이성적이고 과학적 안목에서 분석되어야 한다. 그 단체의 사회적 가치 환원과 창출은 공익을 위한 공동체사회문화와의 긍정적인 역할로 이어져서 그의 결과물이 순기능으로 드러나야 세계적인 종교문화의 근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종교적 삶과 세계관이 시대적 상황에 따라 발전하여 생활문화로 안착되면, 종교적 사상은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창출시키는데 큰 가르침이 되어야 한다. 그러한 보편적 종교(宗敎)사상은 영성적 문화수레바퀴를 돌리고 한없이 돌아가게 하여서 생활 속에 정신과학으로 성장 발전되었고 인류의 종교문화(文化)로 계승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종교는 문화의 원형(原形)이며 문화는 또한 종교의 소산(所産)이 된다.
'제 2장 문화(文化)와 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공동체문화란 무엇인가 (0) | 2019.07.29 |
---|---|
3. 종교현상학적 차원 (0) | 2019.07.29 |
2. 종교문화구성의 세 가지 기본요소 (0) | 2019.07.29 |
Ⅲ. 종교문화와 공동체문화 (0) | 2019.07.29 |
8. 문화절대주의와 상대주의 관점 (0) | 2019.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