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장 종교문화경영학-단계와 과정

Ⅰ. 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의 포괄적 요소 - 성속일여(聖俗一如)

학담(學潭) 2019. 7. 31. 17:19

제 8장 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의 단계와 과정



종교문화경영의 단계와 과정은 종교문화의 학습과 실전경험, 시대상황인식과 문제점 그리고 성찰적 과제를 발견한 후에 해결하고자 하는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자세를 다루고 있다. 그러한 자세는 종교문화경영학을 숙지해야 할 연구방법론을 인지하고 터득하여 각 단체의 현주소와 혁신 사항 등을 제시할 수 있다. 그 방법론은 먼저 공동체사회와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종교문화현상과 본질, 생명사상, 그의 성장단계, 현실적 상황과 입지 및 주어진 사안에 대한 처리 또는 미처리 과정과 관련된 정황 등을 다루는 것이다. 이에 역사적 이해와 국제적 통찰의식을 가지고 과학적 안목에서 국내외의 종교사회의 실상이 진단되어야 한다. 각 종교문화단체의 특성을 분야별의 주제어로 분리하고 그의 카테고리(category)를 분석해서 정리해야 한다. 그 다음단계와 과정은 각 단체의 종교문화경영의 현 상황을 상세히 진단하며 문제점으로 파악된 사안들을 풀어나아 가기 위해 공동체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오늘과 내일의 방향과 실천적인 프로그램을 타진하고 활성화시켜야 한다. 긍정적인 것은 사회적 가치 환원과 창출을 이끄는 선도(先導)의 대상이자 공동선실천의 지렛대가 된다. 



Ⅰ. 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의 포괄적 요소 - 성속일여(聖俗一如)


서구의 그리스도교사상은 이원론(二元論)관점에서 인간사회를 성(聖)과 속(俗)의 두 영역으로 구분되었고 그리스도교의 성역은 절대시 되었다. 하지만 동양 즉 한국사상은 성속을 통합적 관점(統合的 觀點)에서 하나의 세계로 분석했다. 

종교문화경영(지도자)학 가운데 보편적으로 널리 알려진 삶과 죽음은 생명사상을 다루는 것이다. 그 사상은 자연스러운 인생의 과정으로 수용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신비적인 요소로 알려져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설명되고 있다. 존엄하게 출생한 모든 인간이 존엄하게 돌아갈 수 있는 길은 어찌 보면 성속일여(聖俗一如)의 과정으로 보고 세계적인 관심사로 부각되었다. 하지만 각 나라마다 그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차이가 현존하고 있어 법적 조치 또한 색다르다.   

  

인류에게 가장 가까운 곳이나 먼 그곳, 가장 먼 곳 같으나 가까운 그곳이 가시적인 삶의 현장과 비가시적인 죽음의 세계라고 하겠다. 전자를 성(聖)스러움, 후자를 속(俗)됨으로, 아니면 그 반대로 설명한다고 할지라도 삶과 죽음 또는 죽음과 삶의 세계는 결과적으로 성(聖)과 속(俗)이 하나로 연결되었다고 하여 예로부터 성속일여(聖俗一如)라고 한다. 그것은 집안의 문지방을 넘나드는 것과 같으며 진리의 문을 향해 건너야 할 교각(橋脚) 위의 순례의 다리(=길)와 같다. 그래서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현실과 사후세계에 대한 의문은 열려있고 그 의문의 꼬리가 뒤따라 다닌다. 그러한 다리 위를 걸어가야 할 삶의 여정은 항상 개방되어 있어 아직 가보지 못한 곳은 직접 가봐야 궁금증이 해소될 수 있다. 

하지만 죽은 자는 말이 없고 죽음이후 즉 사후세계의 길은 살아생전에 가볼 수 없는 길이다. 따라서 그 길이 어떠하다고 만인에게 이해되도록 설명할 수 없고, 그 어느 누구도 그 길을 보여주며 어떠하다고 증거 할 수도 없기에 그저 신비의 세계로 남겨져 있다. 그러므로 삶의 과정에는 삶과 죽음에 대한 신비적인 요소가 다분히 들어 있어 각양각색의 통과의례가 존재한다. 그 의례가 또한 일상생활 속에 자연스러운 행위로 펼쳐지면서 전개되고 있어 삶의 현실 속에 인식될 수 있는 지역적 관례, 풍습 등은 숙명처럼 받아들여졌다. 그와 같은 의식과 사상적 행위는 세계 공통의 종교성으로 알려진 샤머니즘(shamanism)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샤머니즘이 인류의 가장 오래된(最古) 종교적 현상으로 알려졌고 지역적 풍토와 특색에 따라 종교(적 심)성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어 종교문화경영요소에 포함되어 있다. 샤머니즘의 요소가 신앙단체의 문화에 내재되어 있고 그의 유형 또한 다양하기만 하다. 그러한 요소는 애달프고 간절한 염원과 한 가닥 희망이라도 붙잡고 싶은 심정과 연동되어 있어 문화적 정서 또는 매개체로 여러 분야에서 표현되고 있다. 샤머니즘 중에 건전한 샤머니즘은 현대인의 삶에 도움을 주는 심리상담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며 민간사상과 신앙문화의 기저(基底)층을 이루고 있다.